흉부와 복부 CT 검사 영상으로 근육과 지방, 골강도 등 다양한 체성분을 3차원으로 분석하는
예방적 기회검진이 가능해졌다. 이는 AI를 활용한 최신 검진 기법으로, 근감소증 등 대사성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글 편집실 자료 한국건강관리협회
골격근량, 내장지방량, 골강도, 간내 지방지수 등을 검사하려면 각각 복잡한 검사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해야 했는데, 인체 성분 AI 정밀분석은 단일 스캔으로 복합적 평가를 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차별화된 결과 보고서
결과 보고서는 체내 구성요소의 특징을 추출해 정량적 평가로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해 막대그래프로 표현함으로써 한눈에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또 산출된 수치는 점으로, 동일 성별과 연령층의 결괏값은 막대로 표시해 수검자의 건강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제공한다. 골강도 수치는 동일 성별과 연령 층 결괏값의 백분위수로 표시한다.
3D모델 웹 뷰어 제공
수검자 CT 영상을 3D로 재구성해 모바일에서 확인할 수 있는 QR코드를 제공하는 것도 이 검사의 차별화된 장점이다.
기존 체성분 검사 | 인체 성분 AI 정밀분석 검사 |
---|---|
생체전기 임피던스법 골격근량, 체지방량, 부위별 근육 분석, 체수분, 무기질 등 무게(kg)와 비율(%), 표준 범위 제시 일상적이고 간편한 검사로 비만 관리에 중점 활용 |
CT 영상을 통한 정량적 평가 골격근량, 내장지방량, 골강도, 간내 지방지수 등 면적과 밀도(㎠/㎡), 동일 성별과 연령층 비교 결과 제시 복부와 흉부 CT 검사자는 추가 검사 없이 복합적 인체 성분 평가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