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체크

나의 무릎관절
체크하고
관리하기

수명이 길어지면서 무릎관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무릎관절 연골이 점점 없어져서 뼈와 관절막, 주변 인대 등에 손상과 염증이 생기면 무릎관절염으로 진단한다. 무릎관절염의 단계별 특징과 관리방법을 알아보고 예방·관리하자.

정리 편집실 참고 국가건강정보포털

1 무릎관절염의 진단과 관리

무릎관절염은 문진과 X-ray 검사를 바탕으로 진단한다. X-ray 검사상 관절 간격이 얼마나 좁아졌는지, 관절 주변의 골 변형이 진행된 정도 등에 따라 초기와 중기, 말기로 구분한다. 단계는 켈그렌 로렌스 분류법(Kellgren-Lawrence grade, KL grade) 기준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 켈그렌 로렌스 분류법(Kellgren-Lawrence grade, KL grade)
X-ray 검사 결과를 토대로 퇴행성관절염 진행 정도를 분류하는 방법.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이다.

2 초기 - 1기

체중과 생활습관 관리, 운동으로 관리

무릎관절 통증과 간혹 관절 주변이 붓는 느낌이 든다. 이때부터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이 시기에는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장기적인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체중 관리와 올바른 생활습관, 적합한 운동 방법을 찾고 증상에 맞는 약물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3 중기 - 2기

약물 복용과 물리치료, 주사 등으로 치료

2기에는 무릎관절 통증과 관절 주변이 붓는 불편함을 더 자주 느낀다. X-ray 검사에서도 1기에 비해 관절 간격이 더 좁아지고, 골 변형이 확인된다. 2기로 진단되면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고, 약물 복용과 물리치료, 주사 치료 등을 받으면서 경과를 관찰한다.

4 말기 - 3~4기

약물과 주사 치료로 개선되지 않으면
수술 고려

3기에는 관절 간격이 눈에 띄게 좁아지고, 4기에는 관절이 거의 맞붙고 심한 골 변형이 관찰된다. 말기에는 약물 복용이나 주사 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행한 후 증상이 개선되지 않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한다. 수술은 관절내시경 수술(관절경 수술), 교정 절골술, 인공관절치환술 등 다양한 방법 중에서 환자의 나이, 활동 수준, 관절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