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체크

나도 비만일까?
아닐까?

적정 체중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비만은 모든 생활습관병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병’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아랫배가 나오고 체중계 숫자가 조금씩 커진다면 경계해야 할 때다. 허리둘레와 체중을 관리해야 한다.

정리 편집실 자료 대한비만학회

1 비만도 구하기

표준체중(kg)=(현재신장cm-100)ⅹ0.9

비만도(%)= (현재체중÷표준체중)ⅹ100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얼마나 초과되어 있는지 비만도를 구합니다.
비만도가 120%를 넘으면 비만으로 판정합니다.

{ 비만도 체크 기준표 }

2 BMI 구하기

BMI=체중(kg)÷(신장(m)²)

예시) 체중이 65kg이고 키가 170cm인
사람의 BMI

· 신장(cm)을 미터(m) 단위로 환산합니다.

· 170÷100=1.7입니다.

· 신장의 제곱을 구합니다.

· 1.7ⅹ1.7=2.89입니다.

·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눕니다.

· 65÷2.89=22.49입니다. 정상체중입니다.

{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 2020 }

3 허리둘레로 복부비만 체크하기

복부비만 기준

성인 남자 허리둘레 ≥ 90cm

성인 여자 허리둘레 ≥ 85cm

{ 측정법 }

WHO에서 제시한 방법은 양발 간격을 25~30cm 정도 벌리고 서서 체중을 균등히 분배하고, 숨을 편안히 내쉰 상태에서 줄자를 이용해 측정합니다. 측정 위치는 갈비뼈 가장 아래 위치와 골반의 가장 높은 위치(장골능)의 중간 부위입니다. 줄자가 신체에 압력을 주지 않을 정도로 느슨하게 하여 0.1cm까지 측정합니다. 심한 비만인 경우 피하지방이 많아 허리와 겹쳐 실제보다 길게 측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직립자세에서 피하지방을 들어 올려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