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이 있는 동물은 추위를 타지 않을 것이라고 여기지만 틀린 생각이다. 겨울철 기온이 낮아지면 강아지와 고양이는 체력이 많이 소모되고 면역력도 약해진다. ‘댕냥이’가 겨울을 건강하게 나기 위해 보호자들이 꼭 알아야 할 것들을 정리해본다.
글 편집실
실내 온도와 습도 유지
실내에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에게도 온도와 습도 유지가 중요하다. 실내 온도는 너무 춥거나 덥지 않은 20~25도가 적절하다. 나이가 많은 반려동물은 면역력이 떨어져 있으므로 매트나 담요를 깔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가 건조하면 비염, 천식, 감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실내 습도는 50~60% 정도를 유지한다.
댕댕이 산책은 낮 시간에
반려동물의 정상 체온은 37.7~39.2도이며, 귀와 꼬리 등 신체 말단 부위는 동상에 취약한 편이다. 따뜻한 실내에서 생활하는 것이 익숙한 경우에는 더욱 체온조절이 어려우므로 겨울철 산책은 기온이 오른 낮 시간이 좋으며, 옷을 입혀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실외에서 생활하는 강아지는 견사 보온에 신경을 쓰고, 체온을 유지하느라 체력 소모가 크므로 겨울철에는 사료량을 조금 늘려 급여한다.
발도 따뜻하게 관리
기온이 많이 내려가거나 눈이 오는 날 산책을 했다면 발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반려견도 발이 시리고 동상에 걸리기도 한다. 동상에 걸리면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아 창백하거나 피부색이 검붉게 변하고, 그 부위를 만지면 통증을 느낀다. 이때는 따뜻한 담요로 감싼 후 드라이기로 온도를 높여주고 만일 피부가 검붉은색으로 변하면 바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제설제인 염화칼슘이 발에 닿았다면 반려견의 발을 깨끗하게 닦아내고 잘 말려주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