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육아

학교·유치원·어린이집
가기 싫어하는 아이,
어쩌죠?

매년 3월이면 아이들이 어린이집, 놀이학교, 유치원 등에 입학하고 또래들과의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다. 등원이 수월한 아이들도 있지만, ‘등원 전쟁’이라고 할 정도로 매일 아침 등원하는 것을 버겁고 힘들어하는 경우도 있다. 아이가 등원을 힘들어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까?

안재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안정적인 애착 관계 형성을 위해 노력하자

아이가 만 3세 이전의 나이라면 분리 불안을 보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특히 생후 12~18개월의 아이가 처음으로 유아 기관에 갈 때 주 양육자와 분리되며 힘들어하는 반응이나 분리 불안을 더 심하게 나타내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아이들은 세상에 태어나 생후 6~7개월이 되면 부모를 알아보고 부모로부터 심리적인 안정을 찾게 되기 때문에 부모와 떨어지는 것에 대해 불안을 느껴 잠시도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분리 불안’이 나타난다. 분리 불안은 생후 7~8개월경에 시작해 14~15개월에 가장 심해지고, 3세까지 지속된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부모와 분리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어 새로운 유아 기관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

아이가 등원을 거부한다면 엄마 아빠가 눈앞에 보이지 않아도 괜찮다는 것을 차근차근 가르쳐주고 적응해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부모가 나와 함께 있지 않아도, 내 눈앞에 보이지 않아도 항상 나를 지켜보고 있고 존재한다는 것을 아이가 느끼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때 부모가 아이에게 일관된 반응을 보이는 안전기지가 되기 위해 의연한 태도로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분리 불안 증상을 보이고 등원을 거부할 때 부모가 더욱 불안해하고 힘들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 부모의 불안을 같이 느끼게 되면서 아이의 불안은 더욱 악화된다. 부모는 불안을 조절하여 안정된 태도로 아이의 안식처가 되어주고, 아이가 안정을 찾을 수 있는 대상이 되어야 한다. 부모에게서 안정감을 찾고 충전한 아이들이 새로운 것을 향해 나아갈 용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숙지하고 아이를 도와야 한다.

아이와 일정한 시간에 헤어지고, 일정한 시간에 데리러 가는 등 아이 일상에 루틴을 만들어주고, 인사하고 헤어질 수 있도록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아이가 부모와 떨어져 잘 생활한 점에 대해서 구체적인 칭찬과 격려를 듬뿍 해주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 더하여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친척, 이웃, 또래 아이들과 접할 기회를 늘려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영유아 초기 부모와의 애착 관계가 인생 전반에 걸친 행복과 사회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모와 더욱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아이를 살피고 파악하자

새로운 공간, 낯선 사람들에게 적응하는 데에 조금 더 시간을 필요로 하는 친구들이 등원을 힘들어하기도 한다. 우리 아이가 낯선 장소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편이라면 주말에 미리 유아 기관 주변을 방문해보거나 등원하는 길에 익숙해지도록 다녀보고, 유아 기관에서의 생활을 미리 연습해보는 등 아이가 앞으로 지낼 환경과 생활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다른 친구들보다 좀 더 시간이 걸리더라도 차츰차츰 단계적으로 적응해나가는 시간을 늘려가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이 외에 간혹 다른 아이들과의 상호작용을 힘들어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이나 단체 활동에서 아이가 어떠한 편인지 살필 필요도 있다.

평소 잘 등원하던 아이가 갑자기 등원하지 않으려고 한다면 건강 문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주말의 여행, 불규칙한 일과 후, 소진된 에너지가 재충전되지 않은 경우, 어딘가 아파 몸이 불편한 경우에도 아이가 떼를 쓰며 등원하지 않으려고 할 수 있다. 가정 내에 환경적인 큰 변화가 있을 때에도 아이가 예민한 반응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일이나 환경의 변화가 계획되어 있는 경우 아이에게도 충분히 적응할 시간을 주어야 한다. 아이들에게도 루틴하고 규칙적인 생활이 중요하고 휴식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유아 기관에서 우리 아이가 겪고 있는 어려움은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래관계나 환경과 관련하여 아이가 적응하는데 어려움은 없는지 파악하고, 교사는 아이의 어려움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도움을 주어야 한다. 교사와 아이의 등원 거부 사실을 공유하고, 함께 협력하여 아이의 어려움에 대해 파악하고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어른이 되어서도 새로운 시작은 설레는 동시에 낯설고 두려운 것처럼 첫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새로운 시작과 적응은 당연히 어려운 과제이다. 아이가 편안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마음을 적극적으로 살피고 도와준다면 우리 아이들도 새로운 시작을 힘차게 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